노트 전체보기

39. 디자인 설명하기 ② (feat. 생활인의 시계)

전편의 와디에 이어 '얕고 넓게 짚어주기'계의 전문가를 또 한 분 모셔와봤다. 시계 리뷰어 '생활인'님이다. 아래 영상에서 5분 55초부터 8분 44초까지만 보면 됨. 스니커만큼이나 시계 역시 정해져 있는 요소들 안에서의 디자인 싸움이 치열한 분야다. 디자인과 관련된 일을 잘 하는 데에는 보통 타고난 감각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들 한다. 한편 어떤 대상을 잘 쪼개서 파악하는 일은, 관련된 재능을 타고 나지 않았다 해도 훈련을 통해 꽤 길러질 수 있다. 물론 잘 쪼개는 일로 디자인 결과물의 모든 면을 설명해낼 수는 없지만, 기획의 시선으로 디자인을 분석하고 토론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큰 즐거움이다. - Watch Anatomy 이미지 출처(link)

스킬 & 팁 2023.11.20
38. 디자인 설명하기 ① (feat. 와디의 신발장)

저연차 기획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일들 중 하나가 고객 앞에서 디자인에 대해 설명하는 것 아닐까. "한번 쭉 보세요~" 할 수도 없고. "진짜 멋있죠?" 할 수도 없고. 뭔가 쓸모 있는 말을 해서 아무리 짧아도 3분에서 5분은 채워야 할 것 같은데 기타 등등.. 유튜버 와디(Wadi)가 스니커의 디자인을 말로 묘사하는 방식이 우리처럼 고난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약간의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가져와봤다. 일단 설명은 나중에 하고 영상 먼저 시청을. (1분 35초부터 5분 20초까지만 보면 됨) 이 분이 하는 말을 들어보면, 스니커의 구성 요소별로 하나씩 짚어주면서 설명을 하는 것이 일단 기본으로 깔린다. 흔한 요소든 그렇지 않은 요소든 구분하지 않고 일단 얕고 넓게 쭉 훝어준다는 게 포인트다. (사람마다 ..

스킬 & 팁 2023.11.17
37. 남의 도움 잘 받기

주변의 도움을 잘 받을 줄 알면 많은 일들이 수월해지고, 같은 시간을 들여도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그리고 도움 요청을 잘 한다는 것은 나의 상황을 상대가 돕기 쉬운 상황으로 잘 만드는 것. 이를 위한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추천하고 싶은 것은 대략 다음과 같은 방식이다. 일단 내 차원의 시도를 이것저것 해본다. 나보다 이걸 잘 할 것 같은 사람에게 간다. “내가 이번에 ★★한 걸 해내야 하는데, 그래서 일단 ##도 해보고 @@도 해봤는데 이게 최선인지 모르겠어. 혹시 시간이 되면 너가 좀 더 더해줄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 1)실제로 내가 먼저 해본 시도가 있고, 2)도움을 청할 때 내가 한 시도를 상대에게 알려주는 게 포인트다. 그게 포인트인 이유에는 '뭘 해보려고 하는 사람에게 더 돕고 싶은..

스킬 & 팁 2023.11.03
36. 내가 원하는 결론은 뭐지?

내가 원하는 바가 환경에 영향을 주는 것 나를 둘러싼 환경이 나에게 영향을 주는 것 사람들은 실제보다 전자를 과소평가하고, 후자를 과대평가한다. 그러니 업무를 할 때에 내가 원하는 결과를 생각해보는 습관을 들이면 좋겠다. 이건 프로젝트 초기 기획 단계에서 고객사에 질문지를 보내는 상황에 바로 적용할 수 있다. 고객사가 어떤 디자인 방향성을 추구하고 있는지 물어보는 상황이다. 이때 우리는 많은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서, 질문지가 아직 오가지는 않았지만 '이번 작업은 OO한 방향으로 가면 좋겠군'이 어느 정도 그려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상황에서 흔히 우리는 우리의 가설과 의도가 고객사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하고, 그러면 우리가 던지는 질문에도 우리가 원하는 바를 얻고자 하는 의도가 딱히 담기지 않게 된..

스킬 & 팁 2023.09.28
35. '저희' & '우리'

당연하지만 흔히들 실수하는 것. '저희'를 써야 할 때와 '우리'를 써야 할 때를 헷갈리지 않으면 좋겠다. 특히 일상에서 '우리'를 쓰는 것이 어울릴 때에 '저희'를 쓰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물론 '저희'가 '우리'의 높임말로 쓰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 짐작은 된다. 단순히 정보 전달을 정확히 하자는 취지도 있지만, 그보다는 인상과 효과의 차원에서 더 큰 격차를 만들어낸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당신이 새롭게 시작하려는 어떤 시도에 누군가를 초대해서 함께 해보자고 말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당신과 내가 포함된 이 그룹'이 앞으로 어떤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 설득하고 좋은 미래를 제안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이 상황에서 '저희'를 쓰면 전반적으로 김이 팍 샐 수 밖에 없지 않을까? ..

스킬 & 팁 2023.09.21
34. 뭔가를 개선하고자 할 때 쓸 수 있는 약간의 꼼수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결국 같은 에너지가 드는 작업이어도 지금 그럭저럭 돌아가는 걸 더 잘 되게 만들자는 제안(Zero to Plus)에는 생각보다 덜 반응하고, 우리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문제가 있으니 이걸 해결해야 한다는 제안(Minus to Zero)에는 상대적으로 더 잘 반응한다. 그래서 만약 당신이 결국 원하는 것이 Zero to Plus인데 상대의 저항이나 혼란이 예상된다면 상대로 하여금 논의 주제가 마치 Minus to Zero인 것처럼 느껴지게 만들어서 진행을 하는 것도 방법이다. 당신이 원하는 것이 달성되지 않은 현재의 상황을 문제적 상황으로 잘 정의해서 설명하거나 자료로 만들면 된다. 물론 잘 못 하면 억지 논리임이 드러나서 역효과만 생기니 잘 해야 함. (우리 1~3년차 기획자 분들..

스킬 & 팁 2023.08.07
33. 떠오르는 대로 말해보기

기획자에게 있어 정보를 정리하고 정제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지만, 기획의 초반 단계에 있어 이런 과정은 오히려 독이 될 때가 있다. 혼자서 생각하는 경우에도, 여럿이 함께 아이데이션하는 단계에서도 해당된다. 쓸 데 없는 잔가지를 다듬으려다 보면 나도 모르게 중심 가지를 쳐 내게 될 때가 있다. 이럴 땐 정리는 뒤로하고 두서없이 무작정 밖으로 꺼내보고 왜 그런 생각이 나왔는지 질문해 보자. 이것은 아직 언어로 표현되지 못하고 맴돌던 무형의 것들을 유형의 것으로 정립하기 위함인데, 정리부터 하려다 보면 고민하던 본질보다는 정리 자체에 초점이 맞춰져, 습관적으로 소위 있어 보이는 말을 하는 데에 신경을 쓰게 되고, 때로는 과정 없이 결론만 툭 내놓게 되기도 한다. 그렇게 내뱉고 고민해 본 결과가 비록 한 문장,..

스킬 & 팁 2023.07.20
32. 내가 당신이라면

'내가 너라면'의 표현으로 시작하는 문장이 효과적일 때가 있다. ('제가 매니저님이라면', '제가 만약 의사 결정권자라면' 등 다양하게 변용 가능.) 1. 부드러운 설득이 필요할 때 유용하다. (이건 결국 당신이 결정해야 할 문제라 이 건에 대해 내가 이러자 저러자 크게 푸시하진 않을 건데, 일단 내 생각은 그렇다는 걸 알아줬으면 좋겠어.) 2. 생각해보면 프로젝트 과정에 하게 되는 대부분의 커뮤니케이션은 나도 상대방도 아닌 제 3의 대상에 두고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이다. (이 디자인을 이렇게 할까요 저렇게 할까요, 이번 작업 일정을 요렇게 할까요 저렇게 할까요) 그래서 일에 대한 대화는 때때로 그 안에 속한 사람을 옅어지게 만든다. 그래서 가끔씩 "제가 만약 과장님이라면 저는 이렇게 할 것 같아요."와..

스킬 & 팁 2023.07.10
스튜디오 바톤 기획팀을 소개합니다. (2023/08/06 updated)

안녕하세요, 스튜디오 바톤 기획팀입니다.잠재적 지원자 분들께서 웹기획자 직무 및 바톤과 관련하여 궁금해하실 수 있는 내용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습니다.  1. 바톤에서 기획팀의 일이란?크게 아래의 다섯 가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사람들은 이런 일을 하는구나’이면서 동시에 ‘내가 바톤 기획팀에서 이런 일을 경험하고 내 자산으로 만들 수 있구나’로도 이해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프로젝트가 잘 돌아가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일]아래의 Q&A 파트에 표로 정리한 내용을 보시면 감을 잡으실 수 있겠지만, 요약하자면 바톤 기획팀은 프로젝트가 잘 돌아가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일을 수행하는 조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희가 해마다 기획, 디자인, 개발의 모든 면에서 점점 더 높은 수준의 도전을 경..

바톤에 대하여 2023.06.29
하이츠 스토어 UX/UI 부분개편 프로젝트

이 분야에서 오래 일을 해오다 보니 웹사이트는 잘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만든 이후에 잘 가꾸는 것이 더 중요할 때가 많다는 생각이 듭니다. 새로운 브라우저 환경과 새로운 스펙의 디바이스가 계속 등장하고, 유저들의 니즈와 온라인에서의 행동의 경향도 끊임없이 변화하니까요. 그런 점에서 하이츠 스토어는 런칭 이후의 관리와 점진적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이미 인지하고 있고 상시적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매우 감도 높은 고객사 중 하나입니다. 바톤과 하이츠 스토어는 지난 2021년 겨울에 첫 리뉴얼 프로젝트를 통해 만났고, 이후 1년 간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2023년 상반기에 중규모 리뉴얼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리뉴얼 작업은 디자인 인상은 유지한 채 정보구조를 포함한 UX 개선에 포커스가 맞춰졌습니다. ..

프로젝트 기록 2023.06.22